傳敎
(교운 2장 26절) : 역사의 흐름은 주기(天理) 변화와 같이 나타나고 있다.
1 장 (障) - 19 년
1 회 (會) - 27 장 : 513 년
1 통 (統) - 3 회 : 1539 년
1 원 (元) - 3 통 : 4617 년
|
|
태호 복희씨 (風)
염제 신농씨 (姜)
|
|
元
|
초 통
: 1539 년
|
초 회
: 513 년
|
丁巳年(B.C 2754)
황제 헌원 : 역사의 기록 시작
소호, 전욱, 곡, 요
순 * 世世聖
우 : 하나라
|
道 行
(神 敎)
|
|
중 회
: 513 년
|
탕 : 은나라
|
|
계 회
: 513 년
|
문 : 주나라
|
|
중 통
: 1539 년
|
초 회
|
석가모니 (佛) - 2950 年 前
癸丑生 (B.C 1028)
|
敎 行
|
|
중 회
|
공 자 (儒) - 2474 年 前
庚戌生 (B.C 552)
|
|
계 회
|
예 수 (仙) - 1923 年 前
辛酉生 (A.D 1)
|
|
계 통
: 1539 년
|
초 회
|
남북조, 신라시대 - 佛道 중흥
|
敎의
번성기
|
|
중 회
|
송나라시대 - 儒道 중흥
|
|
계 회
|
로마시대 - 기독교 부흥
|
|
상원갑의 시작(1894 년) 利在新元 (1923 년)
七閏十九歲爲章 二十七章是會當
칠윤십구세위장 이십칠장시회당
按 間一年置閏則有餘日 間二年置閏則日不足 及至十九年 置七閏則無餘不足故以十九年爲一章
안 간일년치윤즉유여일 간이년치윤즉일부족 급지십구년 치칠윤즉무여부족고이십구년위일장
二十七章爲一會 一會凡五百十三年也 孟子所謂五百年必有王者興者此也
이십칠장위일회 일회범오백십삼년야 맹자소위오백년필유왕자흥자차야
윤년이 7번 있는 19년을 1장(章)이라 하고 27장은 1회(會)이다.
按; 살펴보건 데 일년 사이마다 윤년을 두면 날자가 남고, 이년 사이마다 윤년을 두면 날자가 부족하다. 19년에 윤년을 7번 두면 날자가 남지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다. 고로 19년은 1장이다. 27장은 1회이고 1회는 513년이다. 맹자의 소위 오백년 마다 성인이 나서 세상을 흥하게 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三會爲統 三統爲元 循環往復互無彊
삼회위통 삼통위원 순환왕복호무강
按 一會各五百十三年則 三會合一千五百三十九年也 一統各一千五百三十九年則
안 일회각오백십삼년즉 삼회합일천오백삼십구년야 일통각일천오백삼십구년즉
三統合四千六百十七年是爲一元
삼통합사천육백십칠년시위일원
3회는 1통이고 3통은 1원이 되어 순환 왕복하며 서로 끊임이 없다.
부연하면 1회는 513년이므로 3회는 1539년이다. 3회는 1통이 되고 1통은 1539년이므로 3통이면 4617년이 되는데, 이것을 1원(元)이라 한다.
四千六百十七年前丁巳軒轅立極肇斯元
사천육백십칠년전정사헌원입극조사원
按 黃帝距今四千六百十七年前丁巳(上元甲前計算)
안 황제거금사천육백십칠년전정사(상원갑전계산)
4617년 전 정사년에 헌원이 황제자리에 등극할 때 비로소 원이 시작된다.
살펴보면 상원갑(1864년)전 계산으로 황제는 거금 4617년 전 정사년에 입극하였다.
萬像萬事皆有是 諸法諸書總此源
만상만사개유시 제법제서총차원
按 天文地理人事 皆黃帝之所始敎而 史記記年亦自黃帝始也
안 천문지리인사 개황제지소시교이 사기기년역자황제시야
만상만사가 다 이 때부터 시작되고 모든 법과 모든 글의 근원이 된다.
살펴보면 천문, 지리, 인사 모두가 황제 때부터 가르침이 시작되었고 또 사기에서 역시 기록하기를 황제부터 시작한다.
傳頊勛嚳勛華禹 初統初會世世聖
전효욱곡훈화우 초통초회세세성
按 自黃帝至於舜禹略五百年矣 初統初會者以黃帝爲始則
안 자황제지어순우약오백년의 초통초회자이황제위시즉
以黃帝元年計以至於舜禹五百十三年者也
이황제원년계이지어순우오백십삼년자야
효(소호금천씨),욱(전욱고양씨),곡(재곡고신씨),훈(제요도당씨),화(제순유우씨),우(제우하우씨)로 전하여지는 초통초회 때는 대대로 성인이었다.
살펴보면 황제부터 순우까지 500년 정도 되는데 초통초회는 황제로부터 시작하면 즉 황제원년에서 계산해서 순우까지는 513년이다.
日出萬暈同發明 春回品物共華盛 初統之中降中季 聖不承承但一時
일출만운동발명 춘회품물공화성 초통지중강중계 성불승승단일시
按 初統者黃帝以後 凡一千五百三十九年之謂而 五百十三年以後則初統之中會也
안 초통자황제이후 범일천오백삼십구년지위이 오백십삼년이후즉초통지중회야
一千二十六年以後則爲初統之季會也
일천이십육년이후즉위초통지계회야
해가 뜨면 만방에 비치는 광휘는 모든 것을 밝게 드러내고 봄이 돌아오면 만물은 모두 크게 번성하지만 초통에서 초회를 지나 중회와 계회에 이르러서는 성인이 계속 이어지지 않고 계승되어도 단 일시일 뿐이었다.
살펴보면 초통은 황제이후 1539년까지를 이르고 513년 이후면 초통 중회이고 1026년 이후면 초통 계회이다.
禹後有湯湯後文 一會一聖應會期 中統由來世漸降 聖不道行但敎傳
우후유탕탕후문 일회일성응회기 중통유래세점강 성불도행단교전
按 中統者黃帝卽位 後千五百三十九年以後爲仲統也
안 중통자황제즉위 후천오백삼십구년이후위중통야
우임금 이후 탕왕이 있었고 탕왕이후 문왕이 있었으니, 1회(會)에 한 성인이 그 회기동안을 담당하였다. 중통에서부터 점점 내려올수록 성인의 도는 행하여지지 않고 다만 교(종교적 가르침)만이 전하여온다.
살펴보면 중통은 황제 즉위 1539년 이후를 중통이라 한다.
釋後有孔孔後耶 一會一敎各門筵
석후유공공후야 일회일교각문연
按 釋迦如來距今二千九百五十年(癸亥年計)癸丑生 孔子距今二千四百七十四年庚戌生
안 석가여래거금이천구백오십년(계해년계)계축생 공자거금이천사백칠십사년경술생
耶蘇距今一千九百二十三年辛酉生
야소거금일천구백이십삼년신유생
석가 후에 공자가 있었고 공자 후에 예수가 있었다. 따라서 1회마다 하나의 종교가 가장 크게 대두되어 세상에 널리 펴졌다.
살펴보면 서가여래는 지금으로부터(계해년 계산) 2950년 전 계축생이고 공자는 지금으로부터 2474년 전 경술생이고 예수는 1923년 전 신유생이다.
季統敎亦無肇聖 惟有術聖斷啓來
계통교역무조성 유유술성단계래
按 季統者黃帝卽位 後三千七十八年以後之季統也 距今一千五百年前六朝及新羅之時
안 계통자황제즉위 후삼천칠십팔년이후지계통야 거금일천오백년전육조급신라지시
佛道中興 其後五百年距今略一千年前大宋之時濂洛諸賢一時傳道
불도중흥 기후오백년거금약일천년전대송지시염락제현일시전도
其後五百年以後羅馬法王以耶蘇敎爲西洋之盟主
기후오백년이후라마법왕이야소교위서양지맹주
계통에도 역시 가르침이 있었지만 지극한 성인의 가르침에 이르지 못하였고 오직 성인의 말씀을 기술한 책만 전하고 계시는 끊어졌다.
살펴보면 계통은 황제즉위 후 3078년 이후는 계통이다. 거금 1500년 전 육조시대(남북조시대)와 신라 때 불도가 번창하였다. 그 후 500년 거금 약 1000년 전 대송시대에 염제와 낙양에 있는 제 현인들이 한때나마 도를 전하였다. 그 후 오백년 이후 라마법왕(로마교황)이 야소교(예수교)의 라마법왕(로마교황)이 서양의 맹주가 되었다.
佛梁儒宋耶羅馬 一敎一昌應會回
불양유송야라마 일교일창응회회
불교는 양나라(남북조시대의 나라이름) 유교는 송나라, 야소교는 로마에서 하나의 종교가 회(會)가 돌아올 때마다 그 교가 회에 응하여 창성하였다.
字意)
按; 누를 안, 어루만지다, 살피다.
彊; 굳셀 강, 서로 따르는 모양
肇; 칠 조, 비롯하다, 시작하다.
斯; 이 사, 사물을 가리키는 어조사
효(囂)―소호금천씨(小昊金天氏)
욱(頊)―전욱고양씨(顓頊高陽氏)
곡(嚳)―제곡고신씨(帝嚳高辛氏)
훈(勛)―제요도당씨(帝堯陶唐氏)
화(華)―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우(禹)―제우하우씨(帝禹夏禹氏)
暈; 무리 운, 해 또는 달무리
筵; 대자리 연, 좌석
啓; 열 계, 가르치다, 인도하다.